< CHAPTER 5. LINE·MAN / LINES·MAN >
1830년대 전신의 발명과 SAMUEL MORSE가 D.C에서 Baltimore까지 전신선을 연결하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Utility Pole(전주)가 등장하였다. 이로 인해 전주에 전선을 설치하는 LINE-MAN(전기원) 직업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1870년대 에디슨의 백열전구의 상용화,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교류가 개발되면서 50년대까지 전력량의 급증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LINE-MAN(전기원)의 모습을 도시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1830년대 전신의 발명과 SAMUEL MORSE가 D.C에서 Baltimore까지 전신선을 연결하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Utility Pole(전주)가 등장하였다. 이로 인해 전주에 전선을 설치하는 LINE-MAN(전기원) 직업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1870년대 에디슨의 백열전구의 상용화,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교류가 개발되면서 50년대까지 전력량의 급증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LINE-MAN(전기원)의 모습을 도시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도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전주는 고압전류를 다루는 LINE(22,900V)과 저압류를 다루는 LINE 그리고 땅속으로 흐르는 전류를 만지는 지중배전으로 나뉜다. 이러한 전류를 만지는 LINE-MAN(전기원)은 우리의 삶을 편의를 위하여 전류를 단전하지 않고, 계속된 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사고와 희생을 경험하고 있다. 그와 함께 어릴 적 우리들의 놀이터인 전주(전봇대)에 대한 추억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도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전주는 고압전류를 다루는 LINE(22,900V)과 저압류를 다루는 LINE 그리고 땅속으로 흐르는 전류를 만지는 지중배전으로 나뉜다. 이러한 전류를 만지는 LINE-MAN(전기원)은 우리의 삶을 편의를 위하여 전류를 단전하지 않고, 계속된 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사고와 희생을 경험하고 있다. 그와 함께 어릴 적 우리들의 놀이터인 전주(전봇대)에 대한 추억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지면이 안착되어 있는 일이 아닌, 공중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근무자를 위한 디테일을 고려하였다. 불필요한 요소의 포켓을 배제하고, 포켓의 형태나 위치를 아래쪽으로 만들어 공구 및 기구들을 수납할 때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활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짧고 가벼운 형태의 기능을 사용하였다.
지면이 안착되어 있는 일이 아닌, 공중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근무자를 위한 디테일을 고려하였다. 불필요한 요소의 포켓을 배제하고, 포켓의 형태나 위치를 아래쪽으로 만들어 공구 및 기구들을 수납할 때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활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짧고 가벼운 형태의 기능을 사용하였다.
1. 주변 교통을 정리하는 안전원 2. 배전전기원 활선차를 운전하는 사람 / (고소작업대 조종자격) 3. 고압전기(22.9000v)를 다루는 배전전기원 /고압가공배전 5. 지중배전을 진행하는 전기원 / 지하로 연결되어 있는 전류 6. 단전 및 전력 공급 재개시 민원 해결하는 전기원 7. 전기원을 교육하는 교육원 4. 저압전기를 다루는 전기원 / 전신주를 직접 오르는 전기원 / 저압가공배전 위와 같이 용도로 나눠 착장을 개발하고 그에 맞는 기능을 연구하였다.
1. 주변 교통을 정리하는 안전원 2. 배전전기원 활선차를 운전하는 사람 / (고소작업대 조종자격) 3. 고압전기(22.9000v)를 다루는 배전전기원 /고압가공배전 5. 지중배전을 진행하는 전기원 / 지하로 연결되어 있는 전류 6. 단전 및 전력 공급 재개시 민원 해결하는 전기원 7. 전기원을 교육하는 교육원 4. 저압전기를 다루는 전기원 / 전신주를 직접 오르는 전기원 / 저압가공배전 위와 같이 용도로 나눠 착장을 개발하고 그에 맞는 기능을 연구하였다.
복식을 고려하고, 연구할 때 사용된 문헌은 1950-60S 전기원에 대한 사료와 미국 국토부에서 전기원을 위해서 지급하였던 복식을 구매하여 참고하였다. 불필요한 요소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상상 속에서 제작하기보다는 목적과 고증의 안에서 재해석하였다.
복식을 고려하고, 연구할 때 사용된 문헌은 1950-60S 전기원에 대한 사료와 미국 국토부에서 전기원을 위해서 지급하였던 복식을 구매하여 참고하였다. 불필요한 요소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상상 속에서 제작하기보다는 목적과 고증의 안에서 재해석하였다.
콘크리트 전주(Utility Pole)이 세월에 의해서 에이징 된 모습을 표현하려 노력하였다. 세월에 의한 변색과 착색 그리고 작고 부드러운 선태식물(이끼류)가 함께 있는 컬러에서 영감을 받아 그레이 류와 톤 다운된 블루, 채도가 낮은 카키 그리고 미들톤의 베이지, 매우 다크 한 챠콜 컬러로 옷을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전주(Utility Pole)이 세월에 의해서 에이징 된 모습을 표현하려 노력하였다. 세월에 의한 변색과 착색 그리고 작고 부드러운 선태식물(이끼류)가 함께 있는 컬러에서 영감을 받아 그레이 류와 톤 다운된 블루, 채도가 낮은 카키 그리고 미들톤의 베이지, 매우 다크 한 챠콜 컬러로 옷을 제작하였다.
메인 아이템과 캐주얼 아이템은 동일한 디자인 속에서 다름을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하였다. 모든 아이템은 베스트라 생각하는 1가지 컬러로 제작되고,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패턴부터 시작하여 원단, 안감, 심지, 봉제사, 세세한 부자재까지 모든 부분을 다르게 사용하였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샘플링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전히 별개의 옷이라 사료된다.
메인 아이템과 캐주얼 아이템은 동일한 디자인 속에서 다름을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하였다. 모든 아이템은 베스트라 생각하는 1가지 컬러로 제작되고,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패턴부터 시작하여 원단, 안감, 심지, 봉제사, 세세한 부자재까지 모든 부분을 다르게 사용하였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샘플링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전히 별개의 옷이라 사료된다.